카테고리 없음

게슈탈트 심리학

날마다 부자습관 2023. 7. 30. 18:11
반응형

게슈탈트(Gestalt) 심리학은 인간은 어떤 대상을 개별적 부분의 조합이 아닌 전체로 인식하는 존재라고 주장하는 심리학파입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의 주요 특징, 지각적 조직화, 지각적 분리 및 공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게슈탈트 심리학이란?

게슈탈트 심리학은 독일어로 "형태"를 뜻하는 '게슈탈트'에서 유래한 심리학의 한 학파입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인간의 지각과 인식을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전체가 부분의 합보다 크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즉, 게슈탈트 심리학은 대상을 그 부분들로 나누어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로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2. 게슈탈트 심리학의 주요 특징

1.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큽니다.
2. 부분들은 전체에 의해 결정됩니다. 
3. 지각은 능동적입니다. 
4. 지각은 경험에 의해 형성됩니다. 

 

 

3. 게슈탈트의 지각체제화 원리: 지각적 조직화

베르트하이머는 주로 지각에서 점이나 선으로 된 간단한 도형을 사용해 형태 지각의 원리를 확정했는데 이후 다른 지각 영역, 나아가 기억, 학습, 사고, 집단형성 등에도 이 원리가 적용되는 것을 밝혔습니다. 지각적 조직화 원리는 사람들이 작은 부분들을 전체로 체제화하는 방식을 명시합니다. 

 

<지각적 조직화의 6가지 원리>

  • 유사성 원리: 비슷한 것들을 함께 집단화하는 것으로 비슷한 색, 모양, 크기, 방향 때문에 집단을 이룹니다. 
  • 좋은 연속성의 원리: 연결할 때 직선이나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는 점들은 함께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 선들은 가장 부드러운 경로를 따르는 식으로 지각되는 것입니다. 
  • 좋은 형태의 원리: 단순성의 원리라고도 하는데 모든 자극 패턴은 최종 구조가 가능한 한 단순한 것이 되도록 보이는 것입니다. 
  • 근접성의 원리: 서로 가까이에 있는 것들이 함께 집단화되는 것입니다. 
  • 공동운명의 원리: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들이 함게 집단화하는 것입니다.
  • 친숙성 원리: 집단이 친숙하거나 의미 있어 보이면 그것들은 집단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4. 게슈탈트의 지각체제화 원리: 지각적 분리

 

루빈의 얼굴-꽃병

출처:Goldstein E. B., 2003

 

 

전경-배경 분리는 1915년 루빈(Edger Rubin)이 최초로 자세히 기술했습니다. 전경(형태)은 앞에 떠오르는 형상이고 배경은 전경의 뒤로 확산된 무정형의 공간처럼 지각되는 부분을 말합니다. 전경은 배경보다 더 기억하기 쉽고 배경에는 없는 어떤 실체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림에서는 중앙의 꽃병 또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얼굴의 실루엣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꽃병과 얼굴을 동시에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는 꽃병이 전경으로 보일 때는 꽃병과 얼굴을 나누는 윤곽이 꽃병의 윤곽으로 취해지며 얼굴 부분은 꽃병 뒤의 배경으로 지각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루빈의 그림을 통해 인간의 지각이 하나의 전체와 다른 전체 사이를 재빨리 왔다 갔다 함을 알 수 있습니다. 

 

 

 4. 게슈탈트 심리학의 공헌

게슈탈트 심리학은 사람들에게 자신이 보는 것을 조직하려는 기본적인 경향성이 있다는 것과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문제해결에서 통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때, 처음에는 문제의 부분들이 서로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갑작스런 통찰과 함께 부분들은 일시에 해결책 속으로 적합화됩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베르트하이머가 주창했지만  코프카와 쾰러가 대중화했습니다. 쾰러는 존경받는 심리학자로서 1959년에 미국심리학회(APA) 회장으로 추대되었습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학습, 기억, 문제해결 등의 지적 활동에서 지각중심적인 해석을 강조했으며, 인지 심리학 발달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또한 디자인, 광고, 마케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방법론을 제공했습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의 주요 개념과 원리는 우리의 삶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