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우울증은 성인의 우울증과는 양상이 다릅니다. 보통 성인 우울증은 무기력하고 우울한 기분이 많아서 하루종일 침대에서 안 나온다든지 무기력하게 아무것도 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청소년 우울증은 외출해서 친구를 만난다거나 친구와 신나게 게임을 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그러다 혼자가 되면 깊은 우울감을 느끼곤 합니다. 이런 증상때문에 부모님들은 자녀가 우울증인 걸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제 청소년 우울증의 정의, 원인, 증상 및 치료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청소년 우울증의 정의
청소년 우울증은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우울한 기분, 흥미 저하, 에너지 감소, 식욕 변화, 수면 변화, 집중력 저하, 자살 충동 또는 자살 행동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입니다. 청소년 우울증은 흔한 정신 질환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약 10%가 우울증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2. 청소년 우울증의 원인
청소년 우울증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생화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은 우울증에 걸릴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부모 또는 형제자매가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경우 자녀가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높습니다. 우울증은 특히 유전적 요인이 높다고 합니다. 부모가 아니더라도 조부모나 친척의 영향까지 받습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스트레스, 가정 불화, 학업 스트레스, 친구 관계 문제 등이 있습니다. 생화학적 요인으로는 뇌의 신경전달 물질의 불균형이 우울증의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청소년 우울증의 증상
청소년 우울증의 증상은 다양하며, 개인마다 나타나는 증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우울한 기분, 흥미 저하, 에너지 감소, 식욕 변화, 수면 변화, 집중력 저하, 자살 충동 또는 자살 행동이 보입니다. 청소년들은 슬프고 우울하다고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짜증이 많아지고 충동적, 공격적, 반항적인 성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의욕 없이 무기력하게 지내면서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게임 등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우울감을 해결할 길 없는 청소년들이 가장 쉽게 문제를 해결하고 현실을 도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우울증이 오는 시기가 사춘기 시기와 겹칠 때가 많아서 부모들은 더 혼란스러움을 겪습니다.
4. 청소년 우울증의 치료
청소년 우울증은 치료가 가능한 질환입니다. 치료에는 약물 치료, 상담 치료, 행동 치료 등이 있습니다. 그 중 약물 치료는 우울증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부모님들은 자녀가 어리고 약물치료 부작용에 대해서 많은 염려가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약은 이미 임상을 거친 안전한 경우가 많습니다. 자녀의 상태가 심각한 경우라면 약간의 부작용이 있더라도 약물 치료를 하는 것이 자녀에게 더 유익이라 여겨집니다. 우울증은 생화학적인 뇌질환이므로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약물 치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담치료와 행동치료가 병행되었을 때 효과가 가장 좋습니다. 상담 치료는 청소년이 우울증의 원인을 이해하고, 청소년의 마음을 공감해주는데 도움이 되며, 대처 방법을 배울 수도 있습니다. 행동 치료는 청소년이 자신의 우울한 감정을 표현하고, 건강한 생활 방식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행동치료는 좀 더 건강한 자아를 만드는데 도움이 됩니다. 청소년 우울증은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울증이 심해지면 학업 성적 저하, 대인관계 문제, 자살 충동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 우울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부모님, 선생님, 정신건강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시길 바랍니다.
자녀가 우울증이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대부분의 부모들은 "내가 아이를 잘 못 키웠나?"라는 죄책감이나 자녀의 병을 부정하며 인정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든다고 합니다. 이는 보통 부모들은 자녀를 자신의 분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우울증은 유전적인 요인이 많으며, 모든게 부모의 잘못이 아닙니다. 자녀가 우울증이라고 해서 부모가 자신의 삶까지 무너지지 않게 노력하시길 바랍니다. 다니던 직장에 계속 다니고, 자신을 위한 취미활동과 운동도 그대로 하시길 바랍니다. "이또한 지나가리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고통이 영원하지는 않습니다.